Table of Contents
준비 작동식 스프링클러는 프리액션밸브로 불리며, A, B 트리퍼가 작동하면 자동으로 사이렌이 울리고 물이 흐르게 되죠.
헤드가 터지지 않으면 물이 나오지 않으며, 헤드가 터진 곳만 물이 나온답니다.
프리액션밸브는 공압 장치와 함께 설치되며, 주로 주차장과 같은 넓은 공간에 여러 개 설치될 수 있어요.
시스템의 오작동으로 물이 자동으로 나오게 되는 상황에서는 지하층에 설치된 밸브의 위치를 파악하여 즉시 조치해야 하며, 고장 원인도 함께 확인해야 해요.
압력 테스트 및 배관 세팅, 밸브 잠금/열기 등의 과정을 통해 시스템을 정상적으로 복구하고 세팅할 수 있답니다..

4.1. 준비 작동식 스프링클러의 원리
- 준비 작동식 스프링클러, 또는 프레샤 멜버라고 불리는 시스템은 특정 부품이 작동하여 자동으로 물이 흐르게 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
- 시스템이 작동할 때 압력 스위치가 사이렌을 울리도록 한다 .
- 그러나 헤드가 터지지 않으면 물이 나오지 않으며, 오직 터진 헤드에서만 물이 나온다 .
4.2. 프리액션밸브 및 주차장에서의 설치 고려 사항
- 프리액션 밸브는 주로 대형 주차장에 다수 설치되며, 이는 에비압이 비어있는 2차측 때문으로 보인다 .
- 시스템 문제 발생 시, 물이 2차측에 차 있지만 화재가 아닐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
- 문제 발생 시 밸브 위치를 파악하고 해당 구역에 설치된 프리액션 밸브를 확인하여 대처해야 한다 .

4.3. 밸브 조치 및 복구 과정
- 밸브 조치는 부지와 석탄을 열어 물의 흐름을 통제하는 것이며, 펌프가 멈춘 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
- 물의 누수 여부에 따라 펌프 작동이 변화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대응이 필요하다 .
- 시스템 복구 시, 감지기의 복구 여부를 먼저 확인해야 하며 이를 통해 클리퍼의 복구를 진행한다 .
4.4. 테스트 및 배관 압력 확인
- 1차측 배관의 테스트 배구를 통해 시스템 압력을 설정하고, 필요에 따라 이를 열거나 잠가야 한다 .
- 2차측의 압력이 올라가지 않는지 확인하여 시스템 세팅이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해야 한다 .
- 압력이 올라갔을 경우 드레인을 통해 압력을 조정하고, 시스템을 재설정하여 정상 작동을 확인해야 한다 .
글출처-창원소방유투브
5. 스프링클러공사업체 알아보기
센서소방 010-9284-3498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