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자동화재 탐지 설비는 실제 화재가 없는데도 작동하여 경보를 울리기도 한다는 것이 비화재보예요.
비화재보는 주방에 부적절한 감지기 설치, 천장형 온풍기 인근의 감지기 위치, 장마철의 습도 증가, 건축물의 누수, 청소 불량으로 인한 먼지, 담배 연기 등 여러 가지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죠.
장난으로 인한 발신기 오작동도 비화재보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방문기기나 어린이들이 발신기를 눌러 경보가 울릴 수 있어요.
이러한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감지기나 발신기가 동작하게 되면 건축물에 경종이 울린답니다..
1.1. 비화재보의 개요
- 자동화재 탐지 설비는 실제 화재가 아닌데도 경보가 울리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 이러한 상황을 비화재보라고 하며, 다양한 원인과 유형으로 인해 발생한다.
1.2. 비화재보의 주요 원인
- 주방에 비적응성 감지기가 설치되거나, 감지기가 천장형 온풍기에 밀접하게 설치되면 감지기가 오작동할 수 있다.
- 장마철 습도 증가, 건축물 누수, 청소불량으로 인한 먼지 또는 담배 연기로 인해 감지기가 잘못 작동할 수 있다.
- 방문기기나 어린이가 발신기를 장난으로 눌러 불필요하게 기기가 작동하는 경우도 있다.
1.3. 비화재보의 영항
- 이러한 원인들로 인해 감지기나 발신기가 오작동하게 되면, 건축물 내에 경종이 울린다.

비화재보 대처 절차는 무엇인가요?
수신기의 화재 표시 등과 지구 표시 등을 확인한 후, 점등된 구역을 실제로 점검하여 화재 여부를 확인해요.
비화재보로 판단될 경우, 즉시 음향장치를 정지시켜요.
오작동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한 후, 복구 스위치를 눌러 수신기가 정상 상태로 전환되도록 해요..
2.1. 비화재보 발생 시 초기 대응 절차
- 수신기의 화재 표시 등과 지구 표시 등을 확인하여 점등 구역을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
- 지정된 구역을 직접 확인하여 실제 화재인지 판단해야 한다 .
- 화재가 아닌 비화재보로 판단될 경우, 음향장치를 신속하게 정지시킨다 .
- 오작동 원인을 파악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한 후, 복구 스위치를 눌러 수신기를 정상 상태로 전환한다 .
2.1. 비화재보 감지 및 초기 대처
- 화재 경보가 울리면 먼저 수신기의 화재 표시 등과 지구 표시 등을 확인해야 한다.
- 지구 표시 등이 점등된 구역을 직접 확인하여 실제 화재 여부를 판단한다.
- 만약 비화재보로 판단되면, 바로 음향장치를 정지시키고 오작동 원인을 파악해야 한다.
- 오작동 원인을 해결한 후, 복구 스위치를 눌러 수신기를 정상으로 전환한다.

비화재보 오작동 시 어떻게 해야 하나요?
음향장치를 정상 또는 연동 모드로 전환해야 해요.
스위치나 경고등이 소등되었는지 확인해야 하죠..

비화재보 발생 시 대처 방법은?
발신기가 장난으로 눌러져 경보가 발생한 경우, 발신기 누름 버튼 스위치를 원상 복구해야 해요.
이후 수신기의 복구 스위치를 눌러 경보 상태를 해제할 수 있죠..
글출처-한국소방안전원
비화재보발생시 해결방법은?
센서소방 010-9284-3498 으로 연락주세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