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able of Contents
소방펌프의 잘못된 기동점과 정지점 설정 사례가 인터넷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어요.
주펌프의 기동점을 자연압에 K값을 더한 값으로 설정할 때, 실제 펌프의 양정값과 편차가 발생하여 즉각적인 화재 대응이 어려워진답니다.
자동 정지가 안되도록 정지점을 최절점에 미치지 않게 설정하는 것이 화재안전기준을 위반하는 잘못된 방법이에요.
적절한 압력 세팅은 충압펌프, 주펌프, 예비펌프의 정지값을 최절압력점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죠.
흡입정압을 계산할 때 지하저수조의 높이차를 고려하여 펌프의 정지점을 맞춰야 해요..
소방펌프 정지점 문제와 해결책은?
주펌프와 예비펌프는 최절압력 미만에서 작동하도록 설정되어, 흡입정압까지만 압력을 올릴 수 있는 구조예요.
흡입정압에 정지점을 설정하면 펌프의 피로도가 증가시키고, 부속품의 탈인 가능성도 높아져 바람직하지 않아요.
화재 발생 시 일부 스프링클러만 작동하므로, 주펌프가 최절운전점 가까이에서 반복적으로 기동과 정지를 하게 되죠.
이러한 반복 기동은 소화활동에 부정적 영향을 주었고, 이에 따라 자동으로 멈추지 않도록 하는 법 개정이 이루어졌어요.
자동 정지 금지 규정은 오작동의 문제를 일으켰으며 이는 빨간색으로 언더라인 되어 강조되었죠..
소방펌프 기동 및 정지점 설정 방법은?
주펌프의 오작동 시, 충압펌프의 정지점을 주펌프의 최절압력점 이상으로 설정하여 주펌프의 정지를 유도할 수 있어요.
NFPA는 국제화재예방협회로, 150여 개국이 가입된 조직이며, 화재안전기준을 제시하고 있죠.
NFPA 기준에 따르면, 충압펌프의 정지점은 주펌프의 최절압력에 최소정수압을 더하여 설정해야 해요.
이러한 설정은 압력점 이하에서 충압펌프가 정지하지 않도록 강제하여 안전성을 높인답니다.
따라서, 주펌프의 잘못된 가동에 대비하여 약간 높은 정지점을 설정할 필요가 있죠..
소방펌프 세팅 기동점 설정의 중요성은?
양정이 90m인 경우, 충압펌프의 기동점은 정지점보다 0.07 이하로 설정되어야 하지만, 이는 충압펌프가 빈번하게 작동하게 만들어 문제가 될 가능성이 있어요.
해설소에서는 충압펌프의 기동점을 0.1메가파스칼로 설정할 것을 권장하며, 그 결과 기동점 및 정지점은 각각 1.17메가파스칼이 되죠.
주펌프와 예비펌프의 기동점은 양정과 체절압력에 따른 편차를 반영하여 각각 1.1 메가파스칼과 1 메가파스칼로 설정하는 것이 올바르게 설정하는 방법이에요.
양정이 50m인 경우, 체절압력의 편차는 0.2메가파스칼이므로 기동점은 양정값 이하로 잡을 수밖에 없는 구조이며, 이는 소화 활동에 문제를 일으키지 않아요..
출처-삼일삼소방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