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프링클러 설비의 화재안전 기준에 일부 내용이 수정되었다는 정보를 공유해요.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준 분에게 감사를 표하며, 이름은 밝힐 수 없지만 이 자리를 빌어 감사 인사를 전하죠.
수정된 지침에 대한 발표는 “스프링클러 설비 화재안전기준 적용지침 수정 알림”이라는 제목을 가진답니다..
스프링클러 헤드 설치 지침 변경 사항은?
소방청 화재예방과는 2019년 10월 22일, 스프링클러 헤드 설치 기준에 대한 새로운 지침을 발표했죠.
새로운 지침에서는 보의 깊이 대신 폭을 기준으로 하여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하도록 기준이 변경되었어요.
보의 폭이 1.2m 이하인 경우와 초과하는 경우에 따라 다른 설치 기준이 적용되며, 이것은 붙임 그림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죠.
기존에는 보의 깊이가 550cm를 초과하면 스프링클러 헤드의 위치가 보의 측면에서 1분의 1 거리 이내에 위치할 수 있었어요.
그러나 새로운 지침에서는 보의 폭을 기준으로 하며, 대형 건축물에서는 보의 깊이와 넓이가 증가하여 스프링클러 헤드가 천장으로부터 상당히 떨어질 수 있죠..
스프링클러 헤드 설치 기준은 어떻게 변경되었나요?
보의 깊이가 아닌 넓이를 기준으로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해야 해요.
1200m 이하일 경우 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죠.
보의 중심선에서 스프링클러 헤드가 간 거리의 1/2 이하일 경우, 설치 높이를 천장면에서 300m 이하에 둘 수 있어요.
1200m를 초과하는 보의 경우, 보의 중심선에 스프링클 헤드를 하나 설치해야 해요.
나머지 설치 방식은 기존의 일반적인 방법을 따르므로, 적용 지침의 이해가 필요하죠..
스프링클러 헤드 설치 기준은 어떻게 바뀌었나요?
스프링클러 헤드 간의 거리는 중요해서, 상호 간의 거리의 1/2 이하인 경우 헤드의 위치를 300m 이하에 두도록 하는 지침이 주어져요.
정사각형 구조에서는 스프링클러 헤드 간의 최대 거리가 2300mm이며, 대각선의 최대 길이는 4600mm로 계산돼요.
오른쪽 헤드의 경우 스프링클러 헤드 간의 거리가 2200인 경우, 중심이 300에 위치하도록 설계해요.
보의 폭이 1200인 경우, 중심선에서 헤드까지의 거리의 1/2 이하에 위치하고 천장면에서 300 이하에 머물도록 설치하면 되죠.
적용 지침이 수정되면서 이어지는 새로운 기준은 화재 안전 기준의 반영으로, 명확한 헤드 위치 및 거리 규정을 통한 설치 효율성을 목표로 해요..
스프링클러 지침의 소급 적용은 어떻게 되나요?
지난달, 소방청 화재 예방과에서 새로운 업무 지침을 각서로 발표했어요.
새로운 지침은 특정 조건을 제외하고 소급 적용되지 않으며, 현재 진행 중인 신축현장에는 적용할 필요가 없죠.
이전에 사용 승인을 받은 소방대상물에 대해서도 기존 방식대로 진행할 수 있어요.
기존 건축물의 경우, 층이 복잡할 수 있는데, 이는 다양한 용도 변경 시 스프링클러 설치의 난관을 초래할 수 있죠.
새로운 지침은 보의 깊이가 아닌 폭을 기준으로 하고, 기준 축을 중심선으로 결정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답니다..
스프링클러 헤드 배치 기준 변경 이유는?
소방 특정 대상물들이 커지고 많아지면서 건축물의 보의 크기가 넓어지고 깊어졌어요.
기존 설치 기준에 따르면, 스프링클러 헤드는 보의 하단 면 근처에 위치하여 화재 발생 시 기류의 극변으로 인한 온도 차이를 정확히 감지하지 못해요.
천장에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는 기류 속도와 온도를 더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지만, 보의 하단에 위치한 경우에는 살수 각도에 장애물이 없는 이점이 있죠.
헤드가 조기에 제 속도와 온도에 반응하여 터지는 것이 더 효과적이며, 이러한 이유로 설비가 수정되어 적용지침이 하달되었어요.
다양한 의견을 공유함으로써 건설적인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중요하죠..
출처-삼일삼소방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